강아지 치매 증상, 원인, 치료방법은?
강아지 치매 증상, 원인, 치료방법은?
예전에는 환갑 잔치를 아주 크게 했었죠. 그 이유는 사람이 그 만큼 살기가 힘들어 60년을 사는것은 개인의 기쁨이자 가족들에게는 큰 경사였다고 합니다. 61세를 회갑이라고 부르는 것은 바로 다시 태어난다란 의미로 쓰인 것이 였어요. 그런데 이런 일은 이제 옛말 입니다. 질 좋은 영양 섭취가 쉬워졌고, 위생적인 환경, 또한 발전된 의료 서비스 등으로 수명이 많이 늘어나게 된 것입니다. 이렇게 60 넘어서 까지 생활을 유지하는 분들이 많아 진 만큼 장수에 따르는 다른 문제도 따라오게 되었습니다.
바로 '치매' 입니다.
치매의 경우 환자 본인 뿐 아니라 가족들까지 엄청난 고통에 시달리게 됩니다. 경제적 신체적 정신적으로 고통을 받다 요양원으로 가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요 실제로 요양원에서 가장 힘들어 하는 환자가 바로 이 치매 환자라고 합니다. 소통도 어려울 뿐 아니라 행동도 감당이 힘들다 합니다. 이처럼 수명이 늘어난 만큼 정신적인 건강도 장수에 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는데요 과연 반려견들의 노화는 어떨까요?
반려견들도 과거에 비해 수명이 매우 늘어났습니다. 과거에는 10년을 채 살기 힘들었던 강아지들의 수명도 인식개선과 의료환경개선 사료 등의 발달로 이전에 비해 많이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이와 같이 강아지들도 10살을 넘기게 되면 ‘강아지치매’라 불리는 인지장애 증후군이 나타나게 됩니다. 강아지는 사람처럼 대화를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증상이 모호하고 또 개체에 따른 차이가 있어서 24시 솔동물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노령견의 경우 젊을 때와 행동의 변화를 보인다든지 하는 것으로 증상을 알아차리는데 9세 이상의 노령견의 50% 정도에서 이런 유사한 증상이 나타난다고 보고 있습니다. 증상으로는 방향감각 상실, 상호작용 변화, 수면패턴변화, 대소변문제, 기억력문제, 불안활동성저하 등이 있습니다.
반려견의 인지기능 장애가 생기면 간단한 산책뿐 아니라 평소 잘 다니는 길에서도 방향을 잡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집 안에서도 벽을 계속 바라보거나 빙빙 도는 행동을 반복 하고 기억력이 떨어져 반려자에게 공격성을 보이고 애정표현도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 잠이 많아지거나 만성피로 등이 나타나고 자극에 민감해 밤에 짖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증상은 날이 갈수록 심해집니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바로 병원을 찾아 진단을 받고 식이 관리와 운동 약물치료를 하는 것이 악화를 늦추는 방법 입니다. 또한 규칙적인 생활과 운동 보호자와의 유대관계 등을 개선해야 하기 때문에 증상이 가볍다고 노령견을 그대로 방치하면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