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슬개골탈구의 방치로 인한 십자인대단열 수술
간혹 내 반려견이 일상 속에서, 또는 지나치게 운동을 했을 때에 발목을 '삐끗' 하는 경우를 목격한 견주 분들이 계실 겁니다. 이렇게 관절이 꺾일 경우의 통증은 경험해본 사람만이 알 수 있는 아픔인데요. 만약 정상적인 운동 범위를 넘어 관절을 지나치게 사용하는 것이 원인으로 뼈와 뼈를 연결해주는 인대가 버티지 못해 끊어질 때에 통증은 이루말할 수 없을거라 생각이 듭니다.
일반적으로 십자인대단열의 경우를 운동선수들이 많이 겪으며, 이러한 증상은 사람에게 국한되지 않고 반려견들에게도 발생하여 전십자인대의 단열로 인해 내원하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십자인대단열의 경우 갑작스럽게 무릎에 심한 체중부하가 실려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동물병원에 자주 내원하는 반려견들을 보면 실제로는 슬개골탈구가 오랜기간 방치되는 것이 원인으로 관절염이 점점 진행되면서 작은 자극에 끊어진 경우가 더욱 많습니다.
십자인대가 단열될 경우에는 먼저 슬개골탈구의 통증보다도 더욱 심한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슬개골탈구가 있는 상태에서 전십자 인대 단열을 내버려둘 경우에는 관절염이 더욱 급격하게 진행되어 평상시 절뚝거리며 살게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실제로 반려견에게 슬개골탈구가 심하게 발생한다면 전십자인대의 단열이 함께 찾아오는 경우가 25% 정도입니다. 그만큼 슬개골탈구를 초기에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슬개골탈구를 개선하기 위한 수술법의 경우 강아지의 무릎상태에 따라서 차이가 날 수 있는데요.
강아지슬개골탈구수술의 경우 경골조면이 심하게 전위한 3~4기 슬개골탈구에서 적합한 경골조면전위술, 넙다리뼈와 정강이뼈가 심하게 휜 경우 적합한 대퇴골변형교정술, 활차연골의 구를 직각으로 깊게 성형해주는 도드래고랑연골성형술 등을 통해 도움을 받아보실 수 있으며, 전십자인대단열수술법 또한 TPLO(tibial plateau leveling osteotomy), TTA(tibial tuberosity advancement), TWO(tibial wedge osteotomy)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을 통해 도움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주치의와 상담을 진행한 뒤 강아지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방법을 적용하여 도움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려견의 십자인대 단열이 발생하는 평균나이는 강아지슬개골탈구보다 더욱 늦은 6~8세 정도가 많습니다. 또한, 십자인대 단열을 비롯해 연골판이 함께 손상이 이루어질 때에는 수술을 한 뒤에도 절룩거림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슬개골탈구수술을 받은 뒤에 재활을 하는 것도 중요하나, 십자인대단열수술 후에는 보다 더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재활을 병행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데요. 수술이 아무리 잘 이루어져도 빠르게 진행되는 대퇴근육의 위축을 비롯해 관절염의 경우 무릎 통증을 더욱 야기하기 때문에, 내버려둔다면 평생 다리를 못 딛게 되는 불상사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다리가 튼튼해야 반려동물의 건강한 삶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평상시 우리 아이의 다리 건강을 지키기 위해 무릎건강상태를 자주 확인해주고, 슬개골탈구 등의 의심 증상이 보인다면 조기에 솔동물의료센터를 찾아와 정밀 진단 및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해주시는 것이 아이의 보호자로서의 책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