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반려묘에게 치명적인 고양이 돌연사 1위, 비대성심근병증 증상
    카테고리 없음 2023. 10. 24. 18:13

     

    신체 부위 중 중용하지 않은 부위는 없습니다. 그러나 그 중에서도 생명을 이어가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신체기관이라하면 가장 먼저 '심장'을 떠올리실 텐데요. 심장은 다른 신체 장기들이 제대로 활동할 수 있도록 혈액을 공급하고 회수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때문에 이러한 심장에 문제가 발생하면 생명이 위험한 순간으로 직결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다양한 심장질환이 있지만 오늘은 그 중에서도 반려묘의 생명을 앗아가는 고양이 돌연사 1위에 해당하는 심장병인 비대성심근병증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사람과 마찬가지로 반려동물도 다양한 심장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중 고양이에게 유독 많이 발생하는 심장병이 바로 비대성심근병증입니다.

     

    심장은 좌심실, 우심실로 나뉘며 근육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좌심실은 혈액을 내보내는 역할을 하고 우심실은 혈액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는데 이 중 좌심실의 심장 근육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두꺼워지면서 비정상적으로 좌심실만 크기가 커지는 질환이 바로 비대성심근병증입니다.

     

    이미 전체가 근육 상태인 심장의 벽이 더 두꺼워지게 되면 심장 내부공간은 비례적으로 좁아지게 되는데요. 이렇게 좁아진 공간의 영향으로 본래 정방향으로 순환되어야 할 혈액순환이 반대인 역방향으로 순환되어 전신 혈액공금에 문제가 바생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고양이 심장병인 비대성심근병증의 대표적은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코로 호흡을 하지 않고 입으로 호흡한다.

     호흡곤란 증상이 있고, 잦은 기침을 한다.

     후지마비증상이 있다.

     피부나 입술이 푸른색을 띠는 청색증을 보인다.

     1분에 40회 이상의 빠른 호흡을 한다.


    반려묘가 만일 어느 날부턴가 위와 같은 증상을 보인다면 고양이 심장병인 비대성심근병증을 의심해보고 빠르게 고양이내과진료가 가능한 동물병원을 찾아가 검사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앞서 설명드린 것처럼 고양이 돌연사 원인이 되는 비대성심근병증은 말기가 될 때까지 특별한 이상 징후를 알아차리기 어려운 질환이지만 고양이 심장병 비대성심근병증은 20~30$의 고양이가 질환을 경험할 만큼 높은 비중으로 발생하는 대표적인 심장병입니다.

     

    그렇다 보니 초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사례를 거의 찾아보기 힘들 만큼 드물고, 대부분 폐수종과 같이 육안으로 확인되는 합병증이 발생한 후에 이상함을 느끼고 동물병원을 찾아가는 경우가 많아 긍정적인 예후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반려견에 비해 반려묘는 더욱 고통을 참으려는 습성을 가지고 있어 조기발견이 어려운 많은 평소 집사분들의 주의 깊은 관찰이 중요하니 대표증상이 없더라도 증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인 심장건강을 체크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통계사 페르시안, 아메리칸 숏헤어, 벵갈, 스코티쉬 폴드, 노르웨이숲, 브리티쉬 숏헤어 종에게서 많이 나타나므로 해당 종의 반려묘를 두신 집사분들이라면 더욱 신경 쓰시길 바랍니다.

     

     

    고양이는 강아지와 다르게 환경이 조금만 변해도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그러므로 스트레스 관리 및 반려묘 상태에 따라 검진결과 또는 진단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치료 예후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그러니 고양이 건강검진 및 심장병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가급적 일반 동물병원보다는 고양이 친화 동물병원인지를 확인하고 내원하는 것이 검진 및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고양이친화병원인 솔 동물의료센터에서는 환경에 민감한 고양이들의 안정적인 진료와 치료를 위해 강아지와 고양이 대기실과 진료실을 따로 마련하여 다른 반려동물과의 접촉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365일 연중무휴로 24시간 응급진료가 가능해 늦은 밤이나 새벽에 소중한 반려묘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내원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