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강아지기관지협착증 "켁켁, 컹컹, 꺽꺽, 꽥꽥, 강아지 기침소리가 이상해요"
    카테고리 없음 2022. 4. 5. 17:40

    강아지기관지협착증 "컹컹, 꺽꺽, 꽥꽥, 강아지 기침소리가 이상해요"

     

     

    만약 집에서 잘 지내고 있는 강아지가 조금만 흥분을 하거나 운동을 할 경우숨을 쉬기 어려워하는 증상이 생겨 마치 거위 울음소리와 같이 캑캑거리거나 기침을 하는 경우에는 단순 기관지염 또는 감기로 인해 발생하는 증상이 아닌 강아지기관지협착증이라는 질환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숨을 쉴 경우 일반적으로 외부의 공기가 폐로 전달되는 길이 필요한데요. 호스같이 생긴 기관이 해당 역할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강아지기관지협착증이란, 기관을 형성하고 있는 둥근 연골이 약해지고 납작해져서 기관내강이 좁아지는 것이 원인으로 숨을 쉬기 어려워지는 질환을 말하는데요. 해당 질환은 일반적으로 요크셔테리어, 치와와, 포메라니안, 시추 등 우리나라에서 쉽게 기르는 품종에서 특히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해당 품종의 반려견이 기침을 할 경우에는 기관지협착증 여부를 보다 세밀하게 관찰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증상이 발생하는 원인의 경우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지만 기관을 형성하고 있는 연골세포가 약해지는 유전적인 요인을 비롯해 비만, 노화 등의 후천적인 요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려견에게 기관지협착증이 동반될 경우에는 켁켁, 컹컹, 꺽꺽, 꽥꽥 거리는 기침소리, 살짝 흥분을 하는 경우, 운동을 하는 경우에도 심하게 헉헉거리면서 호흡이 가빠지고 피로를 쉽게 느끼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활동을 한 뒤, 흥분상태, 물을 먹은 뒤 기침을 심하게 하는 경우 호흡을 하기 곤란해져서 점막 색깔이 파랗게 되는 청색증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다 명확하게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신체검사를 진행하여 증상을 확인하고 흡기, 호기에 따라서 방사선촬영을 하고 X-ray 투시검사나 기관내시경 검사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혈액검사 또는 복부초음파검사 등 일반검사를 진행하여 강아지기관지협착증을 더욱 악화시키거나 증상에 악영향을 주는 원인이나 기관지협착증이 원인으로 발생하는 합병증 여부도 확인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강아지기관지협착증의 경우 기관이 좁아진 정도에 따라서 4기로 나눌 수 있는데요. 정상적인 기관의 직경 대비 1기의 경우 25%, 2기의 경우에는 50%로 나타났으며, 3기의 경우에는 75%, 4기의 경우에는 90% 이상 좁아진 상태를 말하는데요. 완치가 어려우며 증상을 어느정도 개선을 하여 반려견과 보호자분의 불편을 함께 줄이고 떨어진 삶의 질이 올라가는 방향의 치료를 많이 진행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지나치게 흥분을 하는 현상을 안정시키기 위해 진정제와 기관지 확장제, 항염증제, 항생제 등을 이용한 약물치료를 진행하며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급성 호흡 곤란이나 증상이 극심한 경우 또는 약물치료/관리에 반응이 없을 경우에는 좁아진 기관을 인위적으로 넓히기 위해 좁아진 기관내강에 기관지스텐트를 장착하는 시술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강아지기관지협착증의 증상을 더욱 심하게 만드는 요인에는 기관지염이 반복되는 경우, 인후두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경우, 치아질환, 심장질환과 같은 병적 요인들이 있으며 비만 또는 심하게 흥분하는 경우, 경부 기관부의 자극, 건조하거나 미세먼지 또는 연기와 같은 나쁜 대기질 또한 해당됩니다.

     

     

     

     

    강아지기관지협착증은 집에서도 예방을 할 수 있는데요.

    무엇보다 비만이 되지 않게 체중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목줄보다는 가슴줄을 사용하고 운동을 지나치게 하거나 흥분을 하는 경우에는 기관을 더욱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가벼운 산책 정도의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또한, 가정용 네뷸라이저 장치를 사용하여 관리를 해주거나 실내 공기 질을 개선하여 자극이 되는 요인을 줄이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특히 강아지기관지협착증의 경우 숨 쉬는 것과 연관이 있기 때문에, 극심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반려견의 생명이 위험해질 수 있으며, 알맞게 관리를 하지 않을 경우에는 치료가 더욱 어려워질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려견에게 강아지기관지협착증이 의심되는 증상들이 동반될 경우에는 24시 솔동물병원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고 알맞은 처치를 진행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